전체 글 41

미수집자료를 보완하자

1. 보완이란? 자료의 수집이 끝난 후에는 여러 가지 사정으로 완벽한 수집을 못했을 경우 누락되거나 미수된 자료는 삭제 또는 보완하여야 합니다. 미수집 부분을 삭제하는 경우에는 사례의 수가 분석하기에 충분하다면 삭제해도 상관이 없으며, 한 두 개의 변수가 50% 이상 미수집 자료라도 해당 변수를 삭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사례와 변수를 삭제하는 것은 미수집 자료의 해결책이기는 해도 적극적인 방법은 되지 못합니다. 미수집 자료를 보완하는 경우에는 미수 부분을 삭제하는 것보다 적극적인 방법에 해당하지만, 이러한 경우 보완되는 자료에서 상당한 정도의 오차가 발생할 수도 있음을 알아두어야 합니다. 2. 보완의 방법 평균치삽입법 : 평균치 삽입법은 변수의 평균치를 계산하여 누락된 사례의 변숫값으로..

확률통계 2021.06.19

부호의 종류와 소개

1. 연속코드 연속코드는 코딩될 항목이나 대상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배열해 놓고, 이들에 대해 숫자를 부여하여 순차적으로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것으로서 가장 간단한 코드 방법입니다. 일률적으로 연속하여 부여되는 코드이므로, 출발 코드는 어디에서 시작을 해도 상관이 없습니다. 연속코드는 코딩되는 항목이나 대상이 갖는 어떤 특징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므로, 코드 내용을 해독하기 위한 코드북이 필요합니다. 항목의 카테고리 수가 비교적 적고 그 내용이 오랫동안 변하지 않을 경우 유용하고 실용적이지만, 항목의 카테고리 수가 많고 공통되는 특성에 따라 새로이 분류해야 하는 경우에는 부적합합니다. 2. 블록코드 블록코드는 일련의 연속되는 부호 또는 숫자를 몇 개의 블록으로 분류하고 각 블록을 다시 공통된 특징을 갖는 일..

확률통계 2021.06.18

자료를 정리하는 방법

1. 자료 정리란? 자료는 수집된 형태로 직접적인 분석이 불가능하므로 이들 자료는 분석이 가능한 형태로 정리되어야 합니다. 자료가 수집되면 이 자료들은 전반적인 편집 또는 부호화 등의 과정을 거쳐서 자료 정리표에 기입됩니다. 일반적으로 모든 수집된 자료에 대해서는 일정한 형태를 갖는 자료 정리표가 필요합니다. 자료 정리표는 자료가 펀치카드로 옮겨지기 이전에 자료를 명백히 정리하고 조직하며, 그 자료에 대한 여러 가지 참고사항을 간명하고도 종합적으로 밝혀주는 것입니다. 2. 자료 행렬 모든 자료는 그 내용을 분석적으로 볼 때 그 나름의 일정한 성질, 측정단위, 측정시점 이라는 각기 다른 3차원의 속성으로 이루어집니다. 자료를 분석함에 있어서 3차원의 자료 속성을 동시에 전부 분석할 수는 없기 때문에, 이를..

확률통계 2021.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