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률통계

등현등간척도의 특징

스모사우루스 2021. 5. 25. 19:31
반응형

등간등현척도의 작성 절차를 소개합니다.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관련 문항의 수집입니다. 척도에 포함시킬 질문 문항들을 얻기 위해서는 우선 측정의 대상이 되는 변수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이 되는 진술들과 의견들을 광범위하게 수집해야 합니다. 이런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주로 문헌 연구가 있습니다. 이렇게 수집된 진술이나 의견들 가운데서 측정의 대상이 되는 변수의 지표로서 적절한 것들만을 정리합니다. 그다음으로는 문항의 분류를 해주어야 합니다.

 

일단의 평가자들에게 앞에서 정리된 문항들 하나하나를 자신들이 느끼는대로 11개의 카테고리 가운데 적절한 위치에 서열적으로 배치하도록 요청합니다. 11개의 범주, 즉 카테고리는 가장 비우호적에서 시작하여 중립적을 거쳐 가장 우호적 구간 사이에서 성립하는 점수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쉽습니다. 이때 11개의 카테고리는 비교적 비슷한 간격을 지니도록 조정이 됩니다. 등현등간의 서스톤척도는 평가자들로 하여금 각 질문 문항에 대한 우호성의 정도를 비교적 객관적으로 결정하도록 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등현등간척도의 특징

 

척도가치의 결정을 해야 합니다. 각 질문 문항에 대해 평가자들이 척도상의 위치를 판단한 것을 근거로 하여 척도값을 계산합니다. 각 문항에 대해 전체 평가자들이 배정한 위치들의 중앙위치 또는 중앙값을 계산하여 해당 문항의 척도상 가장 근접한 위치를 그 문항의 척도값을 삼게 됩니다. 이후에는 척도 문항을 선정해야 합니다. 질문 문항들 가운데 척도에 포함될 문항들을 결정함에 있어서 다음의 두 가지 측면들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 평가자들이 배정한 점수의 분포형태가 지나치게 한쪽으로 치우친 질문은 평가자들 간에 의견의 불일치가 있는것으로 간주하여 척도에 포함하지 않습니다.
  • 질문 문항들 가운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변수의 개념과 무관하다고 생각되는 것들을 제외합니다.

 

특히 중요한 점은 점수의 분포가 분산된 진술을 배제하는 것을 모호성의 기준에 의한 척도 문항의 선정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모호성이 뜻하는 것은 평가자의 평가에 대한 변이에 의해서 측정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평가자들의 평가결과가 매우 광범위하게 분산되어 있거나 변이가 다양한 진술은 모호하거나 부적합하다고 판단하여 문항에서 제외하는 것입니다. 평가자들이 평가의 변이를 판단하기 위해서 항목의 4분위 중위값이나 표준편차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즉 4분위의 중위값이 적은 항목들을 모호성이 가장 적은 것으로 판단하여 최종적인 척도에 포함을 시키는 것입니다.

 

척도의 구성단계

 

마지막으로는 최종척도의 구성을 해야 합니다. 위의 기준에서 선택된 항목들에 대해서 평가자들이 배정한 중위값을 척도값으로 삼아서 11개의 카테고리의 한 극단에서 다른 극단에 골고루 분포하여 최적 척도로 삼는 것입니다. 각각의 문항들에 부여된 가중치 또는 척도값을 통해서 평균을 산정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확률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시오메트리의 정의  (0) 2021.05.27
누적척도에 대한 이해  (0) 2021.05.26
등간척도에 대한 이해  (0) 2021.05.25
척도화의 절차에 대한 설명  (0) 2021.05.25
확률에서의 척도  (0) 2021.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