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편집이란?
편집은 수집된 자료들을 검토하고 정정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미리 정해진 원칙에 따라 사전 코딩을 하는 것입니다. 자료처리의 제2단계로서 수집된 자료를 점검하여 오기, 누락, 흘려 쓴 것 등을 시정하게 됩니다. 편집의 목적은 연구에서 사용된 개념이 어느 정도 정확하고 일관성 있게 사용되었는가를 검토하는 것입니다. 조사에서 발생한 체계적 오차와 불일치의 원인을 찾아냅니다. 코더를 위해 자료가 분명하고 일관성이 있으며 간단하도록 정리합니다.
2. 편집 조건
편집의 조건으로는 완전성, 일관성, 명확성이 있습니다. 완전성은 조사를 하려는 사람은 조사 대상과 연관된 것은 전부 포함을 하되 결격사유에 해당하는 것은 제외하도록 절차를 수립해야 합니다. 일관성은 수치계산이 정확한가 또는 어느 질문의 응답과 다른 질문의 응답이 이론적으로 일치하는가, 어떤 개념이 모든 응답자에게 동일한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는가, 조사원에 대한 지도 관리를 일관성 있게 하고 있는가 등을 근거로 자료를 편집해야 합니다. 명확성은 자료를 분명하고 알기 쉬우며 명확히 작성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3. 편집 과정
편집의 과정에는 자료의 검토가 가장 먼저 필요합니다. 조사원에 의한 자료의 검토는 다음의 세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 면접 등 자료 수집이 끝난 후 떠나기 직전에 하는 것으로서, 이는 주로 기입되지 않은 것, 기입에 오류가 없는지를 검토하는 것입니다. 오류가 있는 경우에는 구두면접에 의해서 시정하게 됩니다.
- 하루의 조사가 끝난 후 그날 회수한 질문지에 대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주위 내용을 다시 한번 검토하여 불명확한 문자를 시정하고 기입방식을 통일하며, 계산할 것이 있는 경우 계산하여 그 수치를 기입합니다.
- 조사원이 조사의 책임량을 마치고 돌아오기 직전에 행하는 것으로서, 조사원이 자신에게 할당된 조사대상자를 모두 조사했는지, 조사가 불가능한 대상은 얼마나 되는지 등을 확인합니다.
편집자에 의해 자료의 정리한 질문, 특히 개방형 질문이나 복잡하고 다양한 응답을 요구하는 질문에 대한 응답을 코딩하기에 편리하도록 정리하는 것입니다.
4. 누락 정보 편집
정보 누락의 원인으로는 응답자에게 지나치게 개인적인 질문이나 수입, 지출과 같은 대답하기 곤란한 질문을 하는 경우에 발생하게 됩니다. 응답자가 질문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경우에도 발생하게 됩니다. 조사원이 질문을 잘못하였거나 글씨를 알아보지 못하도록 기재하는 경우에도 발생합니다.
누락된 정보의 처리는 누락된 정보에 대해 따로 특별한 부호를 부여하고 편집자도 정보의 누락여부를 결정하며 불분명한 응답을 코더가 읽을 수 있도록 합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문제가 해결된 것이 아니고 부호화에 의해 문제가 다음 단계로 이전된 것에 불과합니다. 누락된 정보에 일정한 값을 부여하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누락 정보 때문에 이 사례를 제거하기보다는 고려할 수 있는 다른 자료를 이용하여 이 응답자의 누락 정보를 추정합니다. 이때에는 누락 정보와 관련되어 있는 다른 자료나 서베이, 저부의 각종 통계자료, 다른 조사에서 수집된 사례 등을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누락 정보의 사례수가 많을 경우 해당 변수의 성격을 완전히 왜곡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확률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호의 종류와 소개 (0) | 2021.06.18 |
---|---|
자료를 정리하는 방법 (0) | 2021.06.17 |
질문지의 완성과 안내문 (0) | 2021.06.16 |
질문의 형태와 형식 (0) | 2021.06.15 |
질문지 설계와 관리 (0) | 2021.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