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률통계

측정화가 되는 과정

스모사우루스 2021. 5. 30. 01:32
반응형

 

사회조사에서 많이 사용되는 측정의 과정에 대해 살펴봅니다. 여기서 말하는 측정의 개념화는 어떠한 개념을 충분히 연구하여 개발시키고 보다 더 명확히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개념에 대한 정의가 불분명한 경우에는 이런 개념에 대한 연구와 관찰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개념을 명확하게 정의하는 것이 측정의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시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측정을 하는 조사자는 개념화 단계에서의 정의를 분명히 해야 하며, 개념에 대한 일정한 정의가 없는 경우에는 새롭게 정의를 내려야 합니다. 만약에 측정에 익숙하지 않은 초보자인 경우에는 인터넷이나 각종 문헌을 통해서 기존에 정의된 내용을 따라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측정 변수와 지표의 구체화는 하나의 개념이 단일의 카테고리를 의미하거나 복수의 카테고리를 의미하는 경우에는 분석이 사우이에 따른 상이한 측정을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사회과학분야에서 상당수의 개념들은 직접적인 측정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개념을 변수로 전환시켜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교육이 편견을 감소시킨다는 가정의 경우에는 먼저 교육은 공식적인 교육량과 지식량 등의 변수로 전환을 시키고, 편견은 여성에 대한 경멸적인 언행 여부와 특정한 부류의 사람들과 상호작용을 회피하는 정도 등의 변수로 전환을 시킵니다.

 

조사자가 개념을 변수로 전환한 후 분석의 단위들에 대한 측정에 어느 정도 접근하게 됩니다. 그러나 변수의 추상성을 더욱 구체화하기 위해서는 지표로 재전환을 해야 합니다. 교육과 같은 단순한 개념의 경우 하나의 지표만을 사용해서도 충분히 측정을 할 수 가 있습니다. 그러나 편견과 같이 복잡한 개념은 하나의 지표만을 사용해서 측정하는 것이 충분하지 못할 수가 있습니다. 따라서 하나의 지표를 사용하여 개념을 측정하기보다는 두 개 이상의 지표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두 개 이상의 지표에 의해 개념을 측정하는 것을 지수 또는 척도라고 하는 것입니다.

 

척도는 추상적이고 복잡한 개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롯, 예를 들어 앞서 편견과 같은 복잡한 개념을 측정하기 위해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일련의 질문들과 관련된 편견척도를 구성하도록 합니다. 조작화는 측정 과정의 마지막 단계로서 조작화 단계는 분석의 단위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는 과정을 의미합ㄴ이다.

 

조작적 정의는 각 분석의 단위를 변수들의 카테고리로 할당하는 작업 또는 과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완전한 조작적 정의는 흔히 분석단위를 대상으로 하는 일련의 질문들과 응답 카테고리들 그리고 자료수집 및 개별 사례들에 대한 카테고리 할당 지침 등을 포함합니다. 하나의 개념을 측정하기 위한 조작적 정의 또는 지표로서 질문 문항은 하나인 경우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둘 이상의 질문 문항으로 구성될 수도 있습니다. 

반응형

'확률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확률에서의 오차  (0) 2021.06.08
표본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0) 2021.06.07
측정이라는 용어와 이해  (0) 2021.05.29
어의구별척도의 이해  (0) 2021.05.28
소시오메트리의 정의  (0) 2021.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