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본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소들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첫 번째는 가용한 자원입니다. 연구조사에 필요한 자원은 시간, 비용 그리고 인적 자원 등을 들 수 있습니다. 비용과 시간만을 고려할 때는 되도록이면 적은 규모의 표본이 유리합니다. 이는 표본의 크기를 크게 할수록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입니다. 조사를 위한 자원이 제한적일 경우 가용한 자원의 절반은 자료의 수집을 위해, 다른 절반은 자료의 분석을 위해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료수집에 할당된 비용과 시간을 개별적 표본수집에 들어가는 비용과 시간으로 나누면 표분의 수가 나오게 됩니다.
다음은 이론과 조사설계
표본 선정시 잘 구성된 이론과 조사설계방법을 개발하여 활용하는 경우에는 작은 크기의 표본으로도 유효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이론을 검증하거나 기존의 다른 조사와 연관되는 조사를 할 경우 최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습니다. 모집단을 적절히 대표하지 못하는 대규모의 표본보다는 편의가 없는 소규모의 표본을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합니다.
모집단의 변이성
모집단의 변이성이란, 모집단 구성요소들이 일정한 특징에 대해 상호 간에 차이점을 지니고 있는 정도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모집단 구성요소들의 변이성 정도는 상충되는 표본의 크기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고려해야 할 요소 중 하나입니다. 모집단의 변이성을 측정하는 가장 좋은 통계 수단은 표준편차입니다. 일반적으로 모집단 구성요소들의 변이성이 높으면 높을수록 표본의 규모가 커야 모집단을 적절하게 추정할 수 있습니다. 모집단이 동질적이면 동질적일수록 보다 더 작은 표본을 가지고도 비교적 정확하게 모집단의 가치에 가깝게 추정할 수 있습니다.
조사방법의 형태
충화표본추출방법은 다른 확률표본추출방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표본으로써 필요한 수준의 신뢰도와 정밀도를 확보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동일한 크기의 표본일 경우 집락표본추출방법은 다른 확률표본추출방법에 비해 더 많은 표본오차를 초래하므로 대표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사례조사를 할 경우 해당 사례가 바로 표본의 크기가 됩니다. 일반적으로 실험적 연구에 비해 기술적 연구가 큰 규모의 표본을 사용합니다. 탐색적 연구의 경우 성격상 표본의 규모가 작은 반면, 실태조사의 경우 보통 큰 규모의 표본을 사용합니다.
카테고리의 다양성
표본의 크기는 각 변수의 카테고리가 얼마나 다양한가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어야 합니다. 변수의 카테고리가 다양하면 다양할수록 표본의 크기는 커야 합니다. 예를 들어 빈도분석 교차 제표의 분석 연구에서 각 칸의 최소 빈도는 10 이상이어야 하므로, 3개의 가치를 가진 3개의 변수를 연구할 경우 표본의 크기는 330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위험성
위성험이란 표본을 근거로 한 추정치의 정확성에 대한 조사의 불확실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는 추정치가 조사에서 요구된 정확성의 수준에 어느 정도 벗어났는가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위험성의 최소화가 요구되는 경우, 추정치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표본의 크기는 그만큼 커야 합니다. 반면 조사에서 위험성이 조사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경우에는, 정확성에 대한 확신이 낮아도 되기 때문에 표본의 크기는 작아도 상관이 없습니다.
'확률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질문지 설계와 관리 (0) | 2021.06.14 |
---|---|
확률에서의 오차 (0) | 2021.06.08 |
측정화가 되는 과정 (0) | 2021.05.30 |
측정이라는 용어와 이해 (0) | 2021.05.29 |
어의구별척도의 이해 (0) | 2021.05.28 |